임광철, 역사를 기록하다
역사는 해석의 역사라고 한다. 해석을 위해서는 사실을 알고 기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역사 속에는 기록되지 못한 이야기가 존재한다. 여러 가지로 다양한 삶의 흔적이 모두 기록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것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기록하고자 하는 의도는 어떻게든 남아 있다.
역사학의 역사에서도 이런 일은 있다. 역사 공부는 여기에서 시작하는 것이 어떨지 생각해 본다.
박사논문을 준비하면서 재일조선인의 역사에 대한 공부를 시작했다. 처음 공부할 때 참 가슴아팠다. 지금은 가슴이 덜 아프지만, 재일조선인의 역사를 공부하면서 여전히 일본에서 사는, 살다 간 사람의 이야기가 기록되기를 바란다. 한국에서 재일조선인은 한국사의 소수자, 빨갱이, 친일적인 사람, 일본에 사는 사람 등으로 이야기되고 있다. 사람들이 이해하는 방식은 많이 다르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자신을 중심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앞만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좌우와 뒤를 동시에 바라보는 ‘역사의 눈’이 필요하다. 우리는 이러한 시각을 가끔 잊고, 잃어버리곤 한다.
역사의 현장에서 한민족의 역사를 기록하며 살다 간 여러 사람이 있다. 재일조선인 역사학자 임광철(林光澈)이 그중 한 사람이다.
임광철, 그는 역사를 기록했다.
그에 대해 다는 아니지만 한국에서 모을 수 있는 관련 기록을 수집해 원고를 만들었다.
순천에 있는 청암대학교에서 재일조선인을 공부하고 있다. 이 기회를 준 강명운 전 총장님께 감사드린다.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교수님, 재일코리안연구소의 여러 선생님과 오랜 시간 책을 만들어 주신 선인출판사 윤관백 사장님과 편집부 여러분께 감사드린다. 함께 하는 연순, 정훈, 지영에게도 고마움을 표한다. 초고를 읽어준 여러 선생님께도 고마움을 전한다.
2024년 4월 15일
순천에서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