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9일 : 73호

라인G1

이 책이 지금

가능한 만큼, 나는 뒤쪽에서 헤엄칠 작정이다.

멸망이라는 단어가 멀게 느껴지지 않는, 폭염으로 절절 끓는 여름입니다. <소설 보다 : 여름 2023> 앤솔러지가 출간되었을 때 공현진의 이 소설 <어차피 세상은 멸망할 텐데>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이후 이 작품으로 작가는 젊은작가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이 소설을 표제작으로 한 공현진의 첫 소설집이 드디어 출간되었습니다.

'희주'와 '주호'는 일하는 곳에서 다른 이의 죽음을 목격한 적이 있습니다. 세계에서 밀려난 이들은 수영 강습 초급반에서 만났습니다. 이들은 초급반에서도 어쩐지 걸리적거리는 존재들, "방해는 하지 마셔야죠. 진행이 안 되잖아요!"(59쪽) 하고 혼나는 존재들입니다. 철제 구조물인 에펠탑이 녹을 지경이라는 뉴스가 나올 정도의 폭염입니다. 해수면은 높아지고 더 많은 땅이 물에 잠기고, 언젠가 희주의 상상처럼 세상은 물에 잠겨 '어차피 세상은 멸망'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뒷줄에 선 사람들의 얼굴을 들여다보는, 그들을 버리고 가지 않는 이 소설에 마음이 열리는 까닭입니다. + 더 보기

49쪽 : 남들은 어떻게 이런 균형을 어렵지 않게 잡을까. 희주는 몸에 힘을 너무 주지 않아서 혼이 났다가, 곧 바로 힘을 너무 많이 주어서 물속으로 가라앉았다.

작가는 지금 _1문 3답

알라딘 : <가능하면 낯선 방향으로>는 첫사랑, 낯익은 동네, 그리고 한 시절의 추억과 상처가 깃든 장소로 돌아가는 여정에 관한 앤솔러지입니다. 올 여름 작가들이 한번쯤 가보고 싶은 낯선 곳이 있을까요? 소설에서 묘사된 전주, 인천 등의 실재하는 장소여도 좋고 추상적인 곳이어도 좋습니다.

김이설 : 아무도 나를 찾지 않는 곳, 혹은 아무도 안 만나는 곳. 또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아도 되는 곳.
한적한 바닷가 마을의 가장 외진 집 한 채에 숨거나 깊은 산 속에 자리한 절집 요사채에 납작 엎드려 있거나. 혹은 아무 말도 통하지 않는 이국이거나 행성이거나 차원. 그것이 현재의 내가 가장 가고 싶은 낯선 방향. 지금은 너무 바쁘고, 여기는 시끄러운데다, 나에게 익숙하고 친숙한 것들은 모두 온 마음을 다해야만 하는 일들. 그러니 안그래도 뜨거운 이 여름만큼은 조용히 사라지고 싶은 것. 당신들로부터, 그리고 나로부터. 그렇다면 내 이름만 불리지 않는 곳이라면 거기는 모두 낯선 곳. + 더 보기

라인y1

한국문학 MD는 지금 스마일

회사에서 좀비 사태가 벌어졌다면? 사내 최고 빌런들과 함께 이 위기를 극복해나가야 한다면? 한국문학 애호가 선생님들은 이런 상황에 놓이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저도 회사원이다보니 어떤 인물들과는 굳이 힘을 합쳐 이 위기를 이겨내기엔 곤혹스럽고 데면데면해서 차라리 좀비 되는 게 낫다 싶기도 한데요... 이 한 줄을 밀어붙여 완성한 좀비 오피스 탈출기의 설정이 재미있어 소개합니다.

'라떼' 박 부장과 '제가요?' 최 사원 사이에 끼인 김 대리는 언제나 그랬듯 오늘도 퇴근을 꿈꿀 따름입니다. 문제는 퇴근하려면 좀비를 뚫어야 한다는 것인데요. 힘을 합쳐 이 사태에 대처해야 하는 부장은 아픈 척만 하고 사원은 없는 게 나은 세계관 속에서 '너 같이 이기주의적인 놈들 때문에 조직이 망가지는 거야!'(156쪽) 같은 말을 하며 부장이 내 계획에 사사건건 간섭이면 좀비가 더 무서운지 조직이 더 무서운지 깊은 생각에 빠질 것도 같습니다. 아포칼립스 좀비 서바이벌물과 블랙코미디 오피스물을 결합한 황수빈의 소설로 12회 교보문고 스토리대상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

라인y1

출판사는 지금 : 한겨레출판

한겨레출판에서 소설 앤솔러지 《서른 번의 힌트》를 출간했어요. 한겨레문학상 3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심윤경, 최진영, 장강명, 강화길, 박서련 등 역대 수상자 20인이 참여했습니다. 각자 당선작을 모티프로 한층 첨예해진 관점과 형식의 이야기들을 풀어냈는데요. 그렇기에 《서른 번의 힌트》는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을 따라 읽어온 독자들에겐 친숙한 이야기가 확장되면서 새로워지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앞으로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을 접할 독자들에겐 흥미로운 이야기들의 물꼬를 터주는 긴요한 안내서 역할을 하고요. 한겨레문학상 30주년을 기념하고 수록작들을 연결하기 위해 작품마다 ‘30’이라는 키워드를 심어두기도 했으니 이를 찾아 읽는 재미도 있을 거예요. + 더 보기

라인y2

책이 된 존재들의 장르소설

책을 소재로 한 장르소설 두 권을 함께 소개해봅니다. 문녹주의 첫 소설집 <지속 가능한 사랑>에 수록된 작품 <금서의 계승자>에서 우리가 아는 형태의 전통적 종이책은 나무가 사라지면서 사라진 상태입니다. 전주에 세워진 새로운 '출판 시장'에서 거래되는 것은 책의 내용을 암기하는 인간 책, 암기 노예입니다.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가작을 수상한 작가 김필산은 수상작인 <책이 된 남자>를 확장한 연작소설 <엔트로피아>를 첫 책으로 내놓습니다. 동로마제국, 거란, 미래 서울을 연결하는 것은 선지자의 기억입니다. 뇌를 얇게 썰어 금속 침으로 그 뇌의 생각을 측정해 종이에 옮기면 한 인간의 육신은 3,000여 장 분량의 책이 됩니다.

라인G2
이번 편지 어떻게 보셨습니까?